[vi 편집기]
* vi [옵션] [파일명]
* -r 손상된 파일 복구
* +n 파일을 열면서 n번째 줄로 이동
* vi +15 test.txt -> test.txt파일을 열면서 15번째 줄로 이동
* + 파일을 열면서 마지막 줄로 이동
* vi 저장/종료
* w -> 파일 저장
* wq -> 파일 저장후 종료
* q -> 편집하지 않았을경우 종료
* q! -> 편집내용을 저장하지 않고 강제 종료
* wq! -> 변경내용을 강제로 저장하고 종료
* wq <filename> -> <filename>으로 저장하고 종료
* 1,5w test.txt -> 1행부터 5행까지의 내용을 test.txt파일로 저장
* 6,10w >> test.txt -> 6행부터 10행까지의 내용을 test.txt파일에 추가
* 커서이동
* gg -> 파일의 처음으로 이동
* G -> 파일의 끝으로 이동
* <숫자> -> <숫자>행으로 이동
* 삽입
* i -> 현재 커서 위치에 삽입
* a -> 현재 커서 다음 위치에 삽입
* I -> 현재 커서가 위치한 줄의 제일 앞에 삽입
* A -> 현재 커서가 위치한 줄의 제일 뒤에 삽입
* o -> 현재 커서가 위치한 줄의 아랫줄에 삽입
* O -> 현재 커서가 위치한 줄의 위에 삽입
* r <filename> -> 현재커서 위치 아래에 <filename>을 읽어와 삽입한다.
* r !date -> 현재커서 위치 아래에 date명령의 결과를 삽입한다.
* 복사
* yy -> 현재 커서가 위치한 줄을 복사
* 'n'yy -> 현재 커서가 위치한 줄에서 아래로 'n'줄 만큼 복사한다
* y0 -> 커서 왼쪽부터 라인의 처음까지 복사
* 'n'yw -> 커서가 위치한 단어부터 뒤로 'n'개의 단어 복사
* yl -> 커서가 위치한 문자 복사
* 붙이기
* p -> 현재 커서 아래에 붙여넣기
* P -> 현재커서 위에 붙여넣기
* 삭제
* D -> 현재 커서부터 라인 끝까지 삭제
* dd -> 현재 커서가 위치한 줄 삭제
* 'n'dd -> 현재 커서가 위치한 줄에서 아래로 'n'줄 삭제
* dw -> 현재 커서가 위치한 단어 삭제
* 'n'dw -> 현재 커서가 위차한 단어 부터 뒤로 'n'개의 단어 삭제
* x -> 현재 커서 위치 문자 삭제
* d0 -> 현재 커서 왼쪽부터 라인의 처음까지 삭제
* 10, 20d -> 10번째 라인부터 20번째 라인까지 삭제
* 변경/바꾸기
* r -> 현재 커서 위치의 문자 변경
* R -> 현재 커서 위치부터 원하는 만큼 문자 변경
* C -> 커서가 위치한 전체 라인 변경
* :s/기존문자열/바꿀문자열 -> 커서가 위치한 라인의 첫번째 문자열 바꾸기
* :s/기존문자열/바꿀문자열/g -> 커서가 위치한 라인의 모든 문자열 바꾸기
* 1,$ s/기존문자열/바꿀문자열/g -> 문서 전체의 문자열 바꾸기
* %s/기존문자열/바꿀문자열/g -> 문서 전체의 문자열 바꾸기
* 기타
* [CRTL]+g -> 현재 편집중인 파일 정보 표시
* [SHIFT]+[방향키] -> 단어 단위로 이동
* u -> 방금한 명령 취소
* . -> 방금한 명령 반복
* 'n'. -> 방금한 명령 'n'번 반복
* ~ -> 커서가 위치한 문자의 대소문자 변경
* /'검색어' -> '검색어'의 문자를 검색
* /test
* 검색이후
* 현재 커서위치 다음으로 계속 검색 -> n
* 현재 커서위치 이전으로 계속 검색 -> N
* ! -> vi사용중 shell 명령어 사용
* !bash
* !ls
* . -> 현재줄을 의미
* , -> ~몇번째 줄까지를 의미
* 2,10 -> 2번째 줄부터 10번째 줄까지
* $ -> 마지막 줄을 의미
* % -> 첫번째 줄 부터 끝줄까지의 의미
* 특수문자를 일반문으로 사용할때는 \를 특수문자 앞에 사용
* 환경변수
* set nu -> 행번호 출력
* set ic -> 문자열 검색시 대소문자 구별없이 검색
* set ai -> 라인변경시 상위 라인과 같은 수준으로 변경(프로그램작성시도움)
* set sm -> () 또는 {}입력시 짝이되는 기호를 찾아가 알려준다(프로그램작성시도움)
* set no -> 환경변수 해제
* set nonu
* set noic
* set noai
* 환경변수 저장
* 사용자 홈디렉토리에 .exrc파일 생성후 변수 저장
* vi .exrc
* set ai
* set nu
* 모든 환경변수 보기
* set all
'Linux Server' 카테고리의 다른 글
CentOS7 Host name (0) | 2015.05.08 |
---|---|
CentOS7 Run Level (0) | 2015.05.08 |
리눅스 Permission (0) | 2015.05.07 |
리눅스 사용자 및 그룹 (0) | 2015.05.07 |
리눅스 런레벨 변경 (0) | 2015.05.06 |
리눅스 Host명 변경 (0) | 2015.05.05 |
Linux 설치 후 기본 설정 (0) | 2015.04.30 |
리눅스 한글 입력 설정 (0) | 2015.03.19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