* 모든 파일과 프로그램은 반드시 소유자가 있어야 한다.
* 사용자는 UID(UserID)를 통해 시스템이 각각을 식별하며, GID(GroupID)를 통해 각 그룹을 식별한다.
* 한명의 사용자는 UID를 가지게 되며, 반드시 하나 이상의 그룹에 가입되어야 한다.
* root 사용자의 경우 슈퍼유저의 권한을 가지기 때문에 TMOUT 을 이용하여 지정된 시간이 지난 뒤 자동 로그아웃 하게 설정 필요
* vi ~/.bash_profile
* TMOUT=<초>
[사용자 및 그룹]
* UID / GID
* /etc/passwd
* ID:암호:UID:GID:설명:홈디렉토리:쉘
* /etc/shadow
* ID:암호:최근PW변경날짜:PW변경후다시변경가능한남은날짜:PW유효기간:PW만료전사용자에게 알려주는기간:계정만료가되기전PW를변경할수있는남은날짜:계정이정지된날까지의기간:예약항목
* /etc/group
* 그룹명:암호:GID:가입된사용자들
[사용자 추가]
* useradd
* useradd -c "SeongHwan.Lee" -p dkagh1234. -g "delmaster" -s "/bin/bash" "t1"
* t1계정 생성시 Comment를SeongHwan.Lee로 지정하고 암호지정(-p) 기본 그룹을 "delmaster"로 지정
* useradd -p dkagh1234. -g "loginx" -s "/sbin/nologin" "t2"
[사용자 암호 변경]
* passwd <user>
[사용자 수정]
* usermod [옵션] <user>
* usermod -g "delmaster" t1
* t1사용자를 delmaster그룹에 추가(메인그룹)
* usermod -G "SAMSUNG","LG" t1
* t1사용자를 SAMSUNG그룹과 LG그룹에 추가(추가그룹)
[사용자 삭제]
* userdel <user>
* userdel -r t1
* t1사용자를 삭제하고 홈디렉토리 지움
[사용자 속성 정보]
* chage <user> = 정보 설정
* chage -l <user> = 정보 출력
[그룹 추가]
* groupadd <group>
* groupadd "delmaster"
* delmaster라는 그룹 생성
[그룹 수정]
* groupmod [옵션] <그룹명>
* groupmod -n sooldesk delmaster
[그룹 제거]
* groupdel <group>
* 삭제하려는 그룹에 사용자가 있으면 삭제되지 않는다.
[파일및 디렉토리의 소속그룹 변경]
* chgrp <변경할그룹명> <파일명>
* 디렉토리의 경우, 하위까지 변경할 시 chgrp -R 옵션 사용
[사용자 전환]
* su
* su [옵션] <user> = su - root = root 유저로 전환. - 옵션으로 환경변수 읽음.
[기타]
* id = 사용자의 uid, gid, gorup 정보
* groups = 사용자가 속한 그룹 정보
[GUI 설정]
* system-config-users 설치
'Linux Server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리눅스 alias 설정 (0) | 2015.05.08 |
---|---|
CentOS7 Host name (0) | 2015.05.08 |
CentOS7 Run Level (0) | 2015.05.08 |
리눅스 Permission (0) | 2015.05.07 |
리눅스 vi 편집기 (0) | 2015.05.06 |
리눅스 런레벨 변경 (0) | 2015.05.06 |
리눅스 Host명 변경 (0) | 2015.05.05 |
Linux 설치 후 기본 설정 (0) | 2015.04.30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