* monut
* 파일시스템 마운트
* -a
* /etc/fstab의 항목 모두 마운트
* -o
* 마운트 옵션 설정
* remount : 마운트 해제없어 재 마운트
* mount -o remount,ro /dev/sdb /hdd2
* umount
* 파일시스템 마운트 해제
* umount <위치>
* umonut /hdd2
* umount -f <위치>
* 파일시스템을 사용중이라도 강제로 마운트 해제
* umount -l <위치>
* 파일시스템의 사용이 끝나면 마운트 해제
* fstab 필드(번호 1~6필드)
1.File system device name
* /dev/sda와 같은 장치이름. 레이블로 표시할수도있다.
2. Mount point
* 해당 파일 시스템을 마운트 할 위치
3. File system type
* 파일 시스템의 종류 설정
* ext, ext2, ext3, ext4, nfs, iso9660 등
4. Option
* 파일 시스템의 속성 설정
* dafault : rw, nouser, auto, exec, suid 속성을 모두 가짐
* rw : 읽기, 쓰기 가능
* ro : 읽기 전용
* user : 일반 사용자도 마운트 가능
* nouser : root만 마운트 가능
* auto : 부팅시 자동 마운트
* noauto : 부팅시 자동마운트 안함
* exec : 파일실행(execute) 허용
* suid : SetUID, SetGID 사용 허용
5. Dump
* dump 옵션
* 1 : 덤프가능
* 0 : 덤프불가능
6. File check option
* fsck로 파일시스템 검사 순서 설정
* 0 : fsck 안함
* 1 : fsck 우선
* 2 : 1번 옵션을 가진 파일시스템 fsck후 fsck 진행
* 디스크 추가 작업
1. fdisk -l
* 추가된 디스크 확인
2. fdisk /dev/sdb
* 파티션 설정
* add a new partition
* Primary partition(1-4)
* Partition number: 1
* Last cylinder
* Write table to disk and exit
3. mkfs.ext4 /dev/sdb1
* 파티션 포맷
4. mkdir /hdd2
* 마운트 할 디렉토리 생성
5. mount -o rw /dev/sdb /hdd2
* 마운트
6. df -lh
* 마운트 확인
7. vi /etc/fstab
* 부팅시 자동 마운트
* /dev/sdb /hdd2 ext4 defaults 0 0
'Linux Server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리눅스 SAMBA (0) | 2015.05.13 |
---|---|
리눅스 방화벽 iptables (0) | 2015.05.12 |
리눅스 서비스 관리 (0) | 2015.05.12 |
리눅스 파일 시스템 (0) | 2015.05.12 |
리눅스 압축 해제 (0) | 2015.05.11 |
리눅스 xwindows 설치 (0) | 2015.05.11 |
리눅스 소프트웨어 관리 (0) | 2015.05.11 |
리눅스 top (0) | 2015.05.08 |